지속가능한 교육시스템 구축
우리회사는 창사이레 교육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한 적이 없다.
약 4년전 인재개발센터를 설립 후 교육을 시행하였으나 이후 흐지부지...
이제 제대로 된 지속가능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.
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진행되어야 할 듯하다.
1. 다양한 비정형 교육 도입
- 교육의 범위를 집합교육에 한정하지 말고 업무 중 상시 진행 하여야 하다.
예) 코칭, 상담 등
집합교육은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교육생, 강사, 교재, 식대 등
이런 자원들이 모여서 시행한 교육은 효과가 많이 떨어진다 특히 성인교육에는 더더욱
각종 규정등에서 비정형 교육에 대한 인정범위 확대가 필요하다
- 또한 기장승무보수교육을 집합교육이 아닌 승무지도 등으로 개선하여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인 듯 하다
3. 교육평가지표 개선
- 교육의 목적은 피 교육자의 행동을 개선하는 데 있다.
예를 들면 근로자 a가 서비스 교육을 받았다. 그러나 교육 후 a가 서비스 행동이 변하지 않았을 경우
교육 효과는 없는 것으로 봐야 한다.
- 그래서 행동 개선 지표를 개발하여 정량화 시킬 것이다.
교육 후 자기평가, 동료평가, 상사평가를 실시하여 a가 실제로 서비스 행동이 변하였는지를 평가하여
계량화된 숫자로 도출하여 평가지표로 삼는다
- 두번째로는 교육비용대비 매출액 성과지표이다. 이 지표는 교육에 투자한 비용이 매출액에 얼마나 기여
하였는지 평가하는 지표이다
현재 시행하는 만족도 조사이외에 정량적인 성과지표를 발굴하여 한다.
3. 에듀테크도입
예를 들면 생성형 al를 도입하여 상시로 지식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.
마지막으로 교육부서에 행하여 지는 업무는 인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. 근로자가 채용, 배치, 직무전환, 퇴사할때까지
중간중간에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.만약 다시 교육센터로 갈 경우 다시 과거로 회기하여 집합교육이 계속될 것이며
인사부서와 함께 할때 더 효과가 있을 것이다.
댓글